■ 오라클 11g R2 ( Oracle 11g R2 ) 설치
- 설치 OS 버전 : CentOS Linux release 7.9.2009 ( Core )
- 설치 Oracle 버전 : 11.2.0.4.0
[ 참고 ] OS 버전 확인 : #> cat /etc/redhat-release
- 메모리 확인
1) /tmp 영역은 2GB 이상
2) swap 영역은 4GB 이상
[ 참고 ]
- swap 설정 : https://it-share.tistory.com/16
cenos 7 스왑 ( swap ) 수정
■ 리눅스 스왑 ( swap ) : 추가 [참고] : 관리자 계정으로 작업 - 용량 확인 - 메모리 확인 - 파일 생성 - 권한 설정 - 포맷 - 파일 시스템 등록 - 부팅시 자동 마운트 설정 - 확인 #>reboot ■ 리눅스..
it-share.tistory.com
- tmp 설정 : https://it-share.tistory.com/17
Centos 7 템프 ( temp ) 만들기
■ Centos 7 템프 만들기 - 확인 - 수정 - 생성 확인 : #>reboot 명령 후 정상적으로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
it-share.tistory.com
- 유저와 유저 그룹생성
- 디렉터리 생성
- 커널 파라미터 설정
#> vim /etc/sysctl.conf
fs.aio-max-nr = 1048576
fs.file-max = 6815744
kernel.shmall = 2097152
kernel.shmmax = 536870912
kernel.shmmni = 4096
kernel.sem = 250 32000 100 128
net.ipv4.ip_local_port_range = 9000 65500
net.core.rmem_default = 262144
net.core.rmem_max = 4194304
net.core.wmem_default = 262144
net.core.wmem_max = 1048586
- 재부팅 없이 변경 적용
- 리소스 제한 설정
#> vim /etc/security/limits.conf
oracle soft nproc 2047
oracle hard nproc 16384
oracle soft nofile 1024
oracle hard nofile 65536
oracle soft stack 10240
- 인증 보안 설정
#>vi /etc/pam.d/login
- 오라클 프로파일 설정
#>su oracle
#>vi /home/oracle/.bash_profile
export TMP=/tmp;
export TMPDIR=$TMP;
export ORACLE_UNQNAME=IT;
export ORACLE_SID=IT;
export ORACLE_BASE=/app/oracle;
export ORACLE_HOME=$ORACLE_BASE/product/11g/db_1;
export CLASSPATH=$ORACLE_HOME/jlib:$ORACLE_HOME/rdbms/jlib;
export LD_LIBRARY_PATH=$ORACLE_HOME/lib:/lib:/usr/lib;
export NLS_LANG=AMERICAN_AMERICA.AL32UTF8;
export LANG=C;
export PATH=/usr/sbin:$ORACLE_HOME/bin:$PATH;
- 필수 패키지 설치
[ 참고 ] : 리눅스를 설치 할때 개발자 도구를 같이 설치하지 않았다면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>yum groupinstall "GNOME Desktop" -y
#>yum groupinstall "Development Tools" -y
#>yum groupinstall "Administration Tools" -y
#>yum groupinstall "System Tools" -y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개발자 도구가 설치된 상태라면
[ 참고 ] : 관리자 계정으로 설치 !!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yum install binutils -y
yum install compat-libstdc++-33 -y
yum install compat-libstdc++-33.i686 -y
yum install elfutils-libelf -y
yum install elfutils-libelf-devel -y
yum install gcc -y
yum install gcc-c++ -y
yum install glibc -y
yum install glibc.i686 -y
yum install glibc-common -y
yum install glibc-devel -y
yum install glibc-headers -y
yum install glibc-devel.i686 -y
yum install ksh -y
yum install compat-libcap1 -y
yum install libaio -y
yum install libaio.i686 -y
yum install libaio-devel -y
yum install libaio-devel.i686 -y
yum install libgcc -y
yum install libgcc.i686 -y
yum install libstdc++ -y
yum install libstdc++.i686 -y
yum install libstdc++-devel -y
yum install glibc-static -y
yum install make -y
yum install numactl -y
yum install numactl-devel -y
yum install sysstat -y
yum install unixODBC -y
yum install unixODBC.i686 -y
yum install unixODBC-devel -y
yum install unixODBC-devel.i686 -y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 오라클 소프트웨어 설치
[ 참고 ] : 오라클에서 제공해주는 Oracle 11g R2를 다운로드 받은 후,
리눅스의 /home/oracle 경로에 압축을 풀어 놓는다.
[ 주의 ] : 압축 해제 및 설치는 oracle 계정으로 진행 !!
* 압축을 해제한 폴더로 이동
* 설치시 언어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언어설정 변경
$>export LANG=C
* 설치 실행
$>./runInstaller
* 자신이 사용할 DB의 Global , SID 네임을 지정
* 아래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
1. 현재 설치된 버전이 11g 패키지가 출시 되었을 시점 보다 상위 버전 : 무시하고 설치 진행
2. 설치가 안되어 있어서 : yum 으로 검색 하여 설치 후, 진행
[ 참고 ] : 확인방법
#> rpm -q libstdc++
- 설치중 발생 가능한 첫번쨰 Error
* 터미널을 새로 생성하고, root 계정으로 로그인
#> vim /app/oracle/product/11g/db_1/ctx/lib/ins_ctx.mk
* 아래 그림의 설정 값으로 변경한 후, 다시 Retry 클릭
- 설치중 발생 가능한 두번째 Error
* 터미널을 새로 생성하고, root 계정으로 로그인
#>vim /app/oracle/product/11g/db_1/sysman/lib/ins_emagent.mk
* 아래 그림의 설정 값으로 변경한 후, 다시 Retry 클릭
- 리스너 확인
#>lsnrctl status
- DB 구동 확인
#>sqlplus '/as sysdba'
SQL>select * from tab;
이상. 끝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 7 템프 ( temp ) 만들기 (0) | 2021.07.16 |
---|---|
cenos 7 스왑 ( swap ) 수정 (0) | 2021.07.16 |
센토스 ( cenos 7 ) ssh 터미널 설정 (0) | 2021.07.15 |
centos : 기본명령어 (0) | 2021.05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