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계정관리 : 그룹
- 그룹ID 지정
usermod -u 510 testuser
usermod -g 510 testuser
vi /etc/group
weblogic:x:510:weblogicuser,testuser
- 그룹명 지정
usermod -G weblogic testuser
vi /etc/group
weblogic:x:510:weblogicuser,testuser
■ service
centos 6.x 버전 | centos 7.x 버전 | 설명 |
service name start | systemctl start name.service | 서비스 시작 |
service name stop | systemctl stop name.service | 서비스 중지 |
service name restart | systemctl restart name.service | 서비스 재시작 |
service name condrestart | systemctl try-restart name.service | 서비스가 구동중이었을 경우에만 재시작 |
service name reload | systemctl reload name.service | 설정 재구동 |
service name status | systemctl status name.service systemctl is-active name.service |
서비스 구동 여부 확인 |
service --status-all | systemctl list-units --type service --all | 모든 서비스의 상태 표시 |
■ 파일생성 : 날짜포함
/home/oracle/filename$(date '+%Y-%m-%d').log
■ 파일 비우기
cat /dev/null > xxxx.xxx
■ 더미 파일 생성
# fallocate -l 2G test_file
■ exec
앞선 명령어의 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"\;" 라는 표기자를 만날때까지 읽고 실행
(앞의 실행결과가 { } 안에 들어온다.
#find /home/test -type f -size +5M -exec ls -l {} \;
■ 폴더용량 확인
du -h --max-depth=1
■ TCP 덤프
tcpdump -i eno1 dst x.x.x.x and tcp port 55000 and "tcp[tcpflags] & (tcp-syn|tcp-ack) != 0"
■ 디렉토리 : 하위 디렉토리 까지 한번에 생성
mkdir -p vehicles/{sedan,coupe,convertible,truck}
■ 크론탭
- 설치여부확인 : ps -ef | grep cron
- 분(0-59) 시간(0-23) 일(1-31) 월(1-12) 요일(0-7) : 0부터 일요일, 매분은 * * * * *
- crontab <-e> <-l> <-r>
- service crond <start> <stop> <restart>
■ 실시간 변경값 확인
watch -d -n1 "cat /proc/net/bonding/bond0"
■ 환경변수
- /etc/profile : 전체 사용자
- /etc/bashrc : 전체 bashrc
- ~/.bash_profile : 로그인 ( 특정 계정 )
- ~/.bash_logout : 로그아웃 ( 특정 계정 )
- ~/.bashrc : bashrc ( 즉정 계정 )
- 인식순서
/etc/profile -> ~./bash_profile -> ~/.bashrc -> /etc/bashrc
[-]# env
[-]# export num1=1 : 덮어쓰기
[-]# export num1=$num1:/etc/bin : 추가하기
■ 별칭 설정 : alias
[-]# alias <alias_name>='<command>'
■ 캐시 메모리 비우기
[-]# sync && 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
■ 정렬
[-]# ls | sort
■ 파일 사이즈 확인
[-]# ls -alSh
- -S : 사이즈 크기순 정렬
■ ssh 원격명령
ssh 아이디@서버주소 명령어
sshpass 패스워드 ssh 아이디@서버주소 명령어
■ 네트워크 셋팅 : IP
- centos 7.x 버전 :
- #> nmcli d
- IP 셋팅 첫번째 방법 :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t-eth0
- IP 셋팅 두번째 방법 : [7]# nmtui
- DNS 설정
[-]# vim /etc/resolv.conf
---------------------------
nameserver x.x.x.x
nameserver x.x.x.x
---------------------------
[-]# systemctl restart network
■ CD 마운트 경로
- /run/media/<사용자계정명>
■ 폴더 용량 확인
du -d N 디렉토리명
- d 옵션으로 몇 단계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할지 정할 수 있습니다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라클 11g R2 ( Oracle 11g R2 ) 설치 (0) | 2021.07.30 |
---|---|
Centos 7 템프 ( temp ) 만들기 (0) | 2021.07.16 |
cenos 7 스왑 ( swap ) 수정 (0) | 2021.07.16 |
센토스 ( cenos 7 ) ssh 터미널 설정 (0) | 2021.07.15 |